2024.06.03 (월)

  • 맑음속초18.4℃
  • 맑음18.7℃
  • 맑음철원18.0℃
  • 맑음동두천19.9℃
  • 맑음파주19.1℃
  • 맑음대관령15.3℃
  • 맑음춘천19.3℃
  • 맑음백령도20.4℃
  • 맑음북강릉18.5℃
  • 맑음강릉19.7℃
  • 맑음동해19.9℃
  • 맑음서울21.4℃
  • 맑음인천21.9℃
  • 맑음원주18.4℃
  • 구름조금울릉도18.4℃
  • 맑음수원21.1℃
  • 맑음영월20.5℃
  • 맑음충주20.2℃
  • 맑음서산20.4℃
  • 구름조금울진19.5℃
  • 맑음청주20.7℃
  • 맑음대전20.6℃
  • 구름조금추풍령17.3℃
  • 구름조금안동19.3℃
  • 구름많음상주18.2℃
  • 구름많음포항19.3℃
  • 맑음군산20.9℃
  • 구름많음대구18.5℃
  • 맑음전주22.0℃
  • 흐림울산18.4℃
  • 구름조금창원21.8℃
  • 맑음광주21.4℃
  • 구름많음부산19.9℃
  • 맑음통영20.9℃
  • 구름조금목포21.2℃
  • 구름조금여수20.4℃
  • 구름조금흑산도21.4℃
  • 맑음완도22.2℃
  • 맑음고창22.8℃
  • 맑음순천20.0℃
  • 맑음홍성(예)19.7℃
  • 맑음18.5℃
  • 구름조금제주23.5℃
  • 구름조금고산21.3℃
  • 맑음성산22.3℃
  • 맑음서귀포24.0℃
  • 구름조금진주19.2℃
  • 맑음강화20.2℃
  • 맑음양평18.5℃
  • 맑음이천20.2℃
  • 맑음인제15.8℃
  • 맑음홍천17.8℃
  • 맑음태백16.9℃
  • 맑음정선군18.0℃
  • 맑음제천17.8℃
  • 맑음보은18.7℃
  • 맑음천안19.5℃
  • 맑음보령21.8℃
  • 맑음부여19.2℃
  • 맑음금산19.0℃
  • 맑음20.0℃
  • 맑음부안22.3℃
  • 맑음임실19.2℃
  • 맑음정읍22.4℃
  • 맑음남원19.9℃
  • 맑음장수18.7℃
  • 맑음고창군21.5℃
  • 맑음영광군21.7℃
  • 구름많음김해시20.0℃
  • 맑음순창군19.8℃
  • 구름조금북창원21.4℃
  • 구름많음양산시21.0℃
  • 맑음보성군20.5℃
  • 맑음강진군21.3℃
  • 맑음장흥21.3℃
  • 맑음해남22.2℃
  • 맑음고흥22.4℃
  • 구름조금의령군22.2℃
  • 맑음함양군20.5℃
  • 맑음광양시21.1℃
  • 맑음진도군20.6℃
  • 맑음봉화16.8℃
  • 맑음영주18.5℃
  • 구름조금문경18.0℃
  • 구름조금청송군17.5℃
  • 맑음영덕19.4℃
  • 구름많음의성18.1℃
  • 구름조금구미18.4℃
  • 흐림영천17.5℃
  • 흐림경주시17.7℃
  • 맑음거창19.3℃
  • 구름조금합천19.4℃
  • 구름많음밀양20.8℃
  • 맑음산청19.9℃
  • 구름조금거제20.8℃
  • 구름조금남해19.8℃
  • 구름많음20.6℃
기상청 제공

365일 언제나 새로운 실시간 뉴스! 빠른 뉴스!!

최종편집일. 2024.05.28 02:35
경상북도 서원·향교 8곳 보물로 승격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뉴스

경상북도 서원·향교 8곳 보물로 승격

ㅡ 전국 20곳 중 경북도 8곳... 경북도 문화유산 위상 드높여
ㅡ 안동 도산서당... 서당 건축물 보물지정 국내 첫 사례

[뉴스알지]=경상북도는 문화재청의 건조물문화재 보물지정 확대 추진 정책으로 전국 20곳의 서원·향교가 국가지정문화재로 신규지정 됐고그 중 경상북도 지정문화재 8곳이 보물로 승격되는 결실을 맺었다.

(1-2)경주향교_명륜당.jpg

승격된 8곳은 상주향교 대성전·동무·서무 경주향교 명륜당 경주향교 동무서무신삼문 구미 금오서원 정학당 구미 금오서원 상현묘 안동 병산서원 만대루 안동 도산서원 도산서당 안동 도산서원 농운정사 이며이중 안동 도산서원 도산서당은 서당 건축 보물 지정 첫 사례라 그 의미가 깊다.

(1-3)경주향교_신삼문.jpg

이번에 보물로 지정된 서원과 향교 문화재들은 절제·간결·소박으로 대변되는 유교문화를 건축적으로 잘 표현하고 있고역사성이 잘 담겨 있으며공간구성의 위계성을 보이고 있고건축이력이 기록물로 잘 남아 있는 등 가치와 특징들이 높이 인정된 건축물이다.

 

서원(書院)조선시대 향촌에 근거지를 둔 사림(士林)이 성리학 이념을 바탕으로 설립한 사립 교육기관으로선현에 대한 제자와 학문 연구후학 양성을 담당했다.

 

향교(響敎)고려와 조선 시대에 전국의 각 지방에 설립된 관립 교육기관으로공자를 비롯한 중국과 우리나라의 선현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며인재를 양성하고 유풍(儒風)을 진작시키기 위하여 건립되었다.

 

△ 상주향교 대성전·동무·서무는 임진왜란 후 1610~1612년 사이에 재건되었으며이후 몇차례 수리과정이 있었지만 원형을 대체로 잘 간직하고 있다건축연혁이 명확하고 조선중기 중창된 뒤 위치의 변경이 없으며대체적으로 당시의 구조양식 등 원형을 잘 간직하고 있다특히정형화되고 엄격한 배치구성이 돋보이며문묘 다음으로 큰 규모이며경사 지형을 고려한 탁월한 입면구성을 갖추고 있다.

 

△ 경주향교 명륜당이 자리하고 있는경주향교는경상북도 내 향교 중 규모가 가장 크고나주향교와 함께 우리나라 향교 건물 배치의 표본으로 꼽힌다경주향교 명륜당은 중수기 등 문헌 기록이 풍부하게 남아있어 건축 연혁을 자세히 알 수 있고, 17세기 건축의 면모를 볼 수 있어 경주향교 대성전과 호응하는 규모와 품격을 가지고 있다.

(1-3)경주향교_동무.jpg

△ 경주향교 동무서무는대성전 좌우에 대칭으로 배치되어 건물의 규모치장 설위의 내용 등에서 대설위 향교 제향 공간으로서 특징을 그대로 가지고 있다신삼문은 형식과 문짝문얼굴홍살 등의 세부 형식에서 향교 제향 공간의 신문으로서 역사의 모범이 될 만하다.

(1-3)경주향교_서무.jpg

△ 구미 금오서원 정학당은길재를 포함하여 선산부와 연고가 있는 김종직정붕박영장현광이 배향된 금오서원의 강당으로임진왜란 직후 현재 위치로 새로이 건립하여 변형없이 자리를 지키고 있다제향공간강학공간부속공간을 두루 갖춘 전형적인 전학후묘 배치의 서원으로 특히 읍청루-정학당-상현묘로 이어지는 일직선상의 중심축은 자연지형의 고저차를 이용하여 공간의 위계성을 표현하고 있고다시 각각의 영역은 담장으로 구획되어 공간의 독립성을 나타내고 있는 등 조선중기 서원 배치의 전형을 알 수 있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1-4)구미_금오서원_정학당.JPG

△ 구미 금오서원 상현묘는선산부와 연관이 있는 길재김종직정붕박영장현광을 배향하고 있으며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에도 없어지지 않고 사액된 47개 서원 중 하나인 금오서원의 사당이다창호의 치목 기법살미의 형태나 대공의 모습 등을 볼 때 조선 중기 건축구조와 양식을 잘 유지하고 있는 전국에서도 보기 드문 서원의 사당이다.

(1-5)구미_금오서원_상현묘.JPG

△ 안동 병산서원 만대루는 정면 7측면 2칸의 중층 누각 건축물로 벽체 없이 전체가 개방되어 있는 독특한 외관을 가지고 있다경사지를 이용해 기존 강학영역보다 낮게 조성한 지대에 3량가의 간소한 건축 구조 및 인공적 조작과 장식을 억제하고 건축의 기본에 충실하여주변과의 조화를 고려한 절제된 건축 구성으로 타 서원에서 찾아볼 수 없는 탁월한 가치를 가지고 있다.

(1-6)안동_병산서원_만대루.JPG

△ 안동 도산서원 도산서당은퇴계가 말년에 강학을 위해 마련한 건축물로써 임진왜란 이전인 1561년 건립되었다퇴계 본인의 건축관이 잘 드러나 있으며설계도인 옥사도자(屋舍圖子)’에는 도산서당의 건축에 대한 치수이유진행상황 등은 퇴계의 서신언행록시 등이 기록되어 현재까지 전해지고 있어서당건축 연구의 귀중한 자료이다서당건축의 초기적 형태인 3칸 구성이지만 좌실우당형의 보기드문 평면으로 최소한의 공간에 주칸의 너비를 다르게 하거나 퇴칸을 활용하는 등의 변형을 통하여 효용성을 높이고 있다.

(1-7)안동_도산서원_도산서당 (1).JPG

△ 안동 도산서원 농운정사는 도산서당과 더불어 퇴계가 직접 설계한 건축물로 정면 4측면 3칸 규모의 민도리식 맞배지붕이다일반적으로 공()자형 건물은 풍수지리 양택론에서 금기로 여겨왔기 때문에 거의 나타나지 않는 평면 형태로 기준 다른 서원 건물에서는 볼 수 없는 특징이다농운정사는 비슷한 시기에 건립된 16세기 서원 건축물에서 강학과 기숙건물이 분리되는데 반해 농운정사는 강학과 기숙휴식의 공간을 모두 가지는 복합적인 건축물로 다른 건축에서 흔히 볼 수 없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1-8)안동_도산서원_농운정사.JPG

이철우 경상북도지사는앞으로도 "우리 도내에 소재하고 있는 문화재 중 가치 있고 우수한 문화재를 적극 발굴하여 국가지정문화재로 승격될 수 있도록 하여도지정 문화재의 위상을 높이고 역사문화관광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힘써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